저혈압 수치와 증상
지난 시간에는 고혈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번에는 반대인 저혈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혈압은 고혈압과 달리 정확히 규정할 수는 없으나 혈압계로 혈압을 측정했을 때 혈압 수치가 수축기 혈압 90mmHg 미만, 이완기 혈압 60mmHg 미만인 경우로, 원인이 불명확한 '본태성 저혈압', 다른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속발성 저혈압(이차성 저혈압, 증후성 저혈압)' 그리고 '식후 저혈압', '미주신경성 실신', '기립성 저혈압' 등이 있습니다. 저혈압 증상 저혈압은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어지러움, 두통, 피로, 전신무력감, 집중력 저하, 불면증, 변비,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메슥거림, 구토, 불규칙한 맥, 목의 뻣뻣함, 수족냉증, 손발저림, 실신 등 저혈압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증상들이 있습니..
2020. 8. 2.
고혈압 낮추는 방법 바로 실천해야!
고혈압은 대부분 증상이 없다가 어느날 갑자기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졸중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리웁니다. 고혈압은 두 가지로 나뉘는데, 뚜렷한 원인이 없는 고혈압을 '본태성 고혈압'이라 하며, 고혈압의 90%가 이에 해당합니다. 본태성 고혈압은 노화, 유전적인 요인, 그리고 비만, 흡연, 음주, 나트륨 과섭취, 스트레스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 발생합니다. 나머지 10%는 '이차성 고혈압'이라 하여, 다른 신체 장기의 질환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둘의 차이점은 본태성 고혈압은 평생 치료해야 하지만, 이차성 고혈압은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하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글 목차 ㆍ 혈압의 뜻 ㆍ 고혈압 진단 기준 ㆍ 고혈압의 종류 ㆍ..
2020. 7. 31.